자유게시판

제목[책소개] 피터 갤리슨, <상과 논리(Image & Logic)>2021-03-11 10:06
작성자

최근 피터 갤리슨의 <상과 논리(Image & Logic)>가 번역, 출간되었네요. 

http://www.kyobobook.co.kr/product/detailViewKor.laf?ejkGb=KOR&mallGb=KOR&barcode=9788935663613&orderClick=LEa&Kc=#N 


"이 책의 목표는 이론 중심의 설명을 풀어내거나 고립된 실험상의 발견 하나하나에 대한 이야기를 수집하는 대신, 현대 물리에 이용된 기구들의 분석을 통하여 실험적 관습 근저에 자리 잡은 연속성을 드러내자는데 있다."


피터 갤리슨 (Peter Galison, 1955~ )은 1977년 미국 하버드 대학을 졸업하고, 1983년 같은 대학에서 이론물리학과 과학역사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지금은 하버드 대학의 과학사와 물리학 교수로 있다. 그는 저술과 영화 작업을 통해 실험하기, 기기장치, 이론으로 구성된 물리학의 세 하부 문화와 더 넓은 세계에서 물리학이 차지하는 위상 사이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탐구한다. 그는 1998년 그해의 가장 뛰어난 과학사 책 『상과 논리』를 출판한 공로로 ‘파이저상(Pfizer Award)’을 수상한 것을 비롯해, 1999년 ‘막스 플랑크 앤 훔볼트 슈티프퉁상(Max Planck and Humboldt Stiftung Award)’을 수상하고, 2017년 ‘파이스상(Pais Prize)’을 수상했으며, 2020년 블랙홀에 대한 첫 번째 영상을 캡처한 공로로 ‘기초 물리학에서의 획기적인 발견상(Breakthrough Prize in Fundamental Physics)’을 공동 수상했다. 주요 저서로는 How Experiments End(1987), Image & Logic(1997), Einstein’s Clocks, Poinca?’s Maps(2003), Objectivity(2007)가 있고, 감독 또는 연출한 영화로는 「Ultimate Weapon: The H-bomb Dilemma」(2000), 「Secrecy」(2008), 「Containment」(2015)가 있다.  

?mb_ext=file&path=2021%2F03%2F11%2FF28_%EC%83%81%EA%B3%BC%EB%85%BC%EB%A6%AC.jpg
 

상과 논리 1 목차

‘사진 찍기’와 ‘숫자’ | 이재일.차동우

들어가는 말

제1장 서론: 상(像)과 논리
1. 연구소의 물질문화
2. 중심 은유(隱喩)
3. 다중(多重) 구속 조건, 동시 풀이
4. 상(像)과 논리
5. 개요(槪要): 도구와 논증
6. 맥락 속의 맥락

제2장 구름 상자: 영국 물리학의 독특한 천재성
1. 구름 상자와 실체
2. 재창조의 로맨스
3. 산정(山頂)의 영광, 실험실 이온
4. 분석과 모사(模寫)
5.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의 추적
6. 객관성과 길들여진 눈
7. 구름 상자와 실험하기의 전형(典型)

제3장 원자핵 에멀션: 실험 과학자의 불안감
1. 서론
2. 마리에타 블라우: 나치와 원자핵 사이에서
3. 소형 구름 상자
4. 전시(戰時)
5. 코닥과 일포드 그리고 사진 에멀션 전문 위원단
6. 스캔과 그 방법의 전파
7. 지식의 전파
8. 눈에 보이는 통계: 달리츠 도표
9. 불안정성과 과학의 군대
10. 기계의 추격
11. 결론: 실험 과학자의 불안감

제4장 연구소 전쟁: 레이더 철학과 로스앨러모스 사람
1. 연구소 전쟁
2. 방사선 연구소/야금 연구소: 물리학자와 기술자
3. 대학들 사이의 전쟁
4. 기술의 연속성, 결과의 불연속성
5. 공동 연구, 연구 활동의 조직, 그리고 연구의 정의
6. 전쟁 그리고 물리학 문화

제5장 거품 상자: 물리학의 공장들
1. 물리학 공장
2. 실험대 위의 실재(實在)
3. 규모의 문제
4. 물리학자와 기술자
5. 연구소 위험의 의미
6. 확장
7. 자료와 해독(解讀) 양식
8. HPD 대 SMP
9. 흔적 해독(解讀)과 발견의 본성
10. FORTRAN과 인간의 본성
11. 물리적 결과
12. 합리적으로 돌아온 합리주의자
13. 요약과 결론

상과 논리 2 목차

 
제6장 전자적(電子的) 상(像): 상(像)에 대한 부정과 새로운 상(像)
1. 도구와 역사
2. 동시 측정
3. 빛의 집계(集計)
4. 민주적인 검출기
5. 거품 상자의 주도권
6. 반란의 불꽃을 피우며
7. 컴퓨터와 물리학 그리고 연구소의 본성
8. 논리의 상(像), 상(像)의 논리
9. 장애를 제거하는 기억
10. 순수하며 포스트모던한 기계
11. 도구 그리고 실험 작업

제7장 시간 투영 상자: 공간 사이로 떨어지는 상(像)
1. 떠다니는 상(像)
2. 시간이 공간으로
3. 공동 연구단
4. 삽입과 조정
5. 그룹 구조
6. 일본과의 관계
7. 물리학자의 꿈, 기술자의 현실
8. 이론과 자료의 조정
9. 결론: 통제와 분산

제8장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 가상현실
1. 서론: 시뮬레이션
2. 무작위적 현실
3. 인공 폭탄
4. 제3자의 사는 방식
5. 실험을 확장하기
6. FORTRAN 크리올어(語), 열핵(熱核) 방언
7. 결론

제9장 교역 지대: 행동과 믿음의 조정
1. 서론: 물리학의 많은 문화들
2. 논리적 실증주의: 경험으로의 환원
3. 반(反)실증주의: 이론으로의 환원
4. 삽입과 반(反)환원주의
5. 교환의 국지성
6. 이론과 실험 사이의 교역
7. 교역의 장소
8. 행동과 믿음의 조정
9. 밧줄, 벽돌, 그리고 형이상학

참고자료 약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